fjrigjwwe9r3edt_lecture:conts 사경(斜頸)으로 대표되는 목근육긴장이상증은 일반인들에게는 아마 무척 생소할 것입니다. 사경(斜頸)이란 글자그대로 비스듬(사,斜)한 목(경,頸), 즉 목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긴장(목근육긴장이상, cervical dystonia)해서 머리를 바른 자세로 유지하지 못하는 증상입니다. 머리가 한쪽으로 꼬이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며 어깨 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앞으로 숙여지기도 하고 뒤로 젖혀지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목근육긴장이상증 환자들에게서 위의 비정상적인 자세가 혼합되어 나타납니다.
사경..처음에는 머리 한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처음에는 머리가 한쪽으로 약간 기울어지는 정도이나 시간이 지나면서 머리가 저절로 한쪽으로 꼬이거나 돌아가게 되고 움찔거리게 됩니다. 또한 어깨가 기울어진 머리 쪽으로 올라가기도 하고 머리나 손에 떨림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으며 심한 통증을 수반하기도 합니다.
약 3분의 1의 환자에서는 인접한 입.턱 주위, 어깨, 팔 등의 근육에서도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런 증상은 걸을때 심해지지만 휴식을 취하면 일시적으로 사라집니다. 특히 각 환자들에게는 '감각적 속임수(sensory trick)'가 있어 턱을 가볍게 괸다든가 머리를 쓰다듬거나 하면 증상이 일시적으로 가벼워집니다.
사경은 다양한 상태와 증세를 보여..
처음에는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어 주로 주변 사람들에 의해 발견되나 이후 매우 다양한 양태와 증세를 보이며 진행됩니다. 발병 이후 약 5년까지의 초기단계에서는 증상이 악화되다가 2단계인 6-10년까지는 증상의 진행이 정지되고 형태가 고정화됩니다.
이후부터는 경우에 따라 약간의 증상 개선을 보일 수 있으나 대부분 다시 재발합니다. 많게는 약 20퍼센트의 환자가 증상이 저절로 좋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같은 자연치유는 대부분 일시적으로 수개월 혹은 수년 후 다시 재발합니다.
사경은 우리 뇌의 운동신경을 지배하는 기저핵의 이상에 의한 것으로 추정..
사경은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일어나는 목근육의 비정상적이고 과다한 근육수축으로 인해 머리가 이상한 자세를 보이는 증상인데 이것은 다른 형태의 이긴장증과 마찬가지로 우리 뇌의 운동신경을 지배하는 기저핵의 이상에 의한 것이라고 믿어지고 있습니다.
사경은 특별한 발병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종종 외상(목에 심한 손상을 입은 후)과 관련하여 생기기도 하고, 또 신경이완제와 같은 약물 복용의 부작용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 드물게 가족력과 연관이 되기도 합니다.
|